본문 바로가기

시가총액2

PER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식 투자를 하게 되면 per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되는데요. 오늘은 이 pe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는 Price Earning Ratio로 직역하자면 가격 대비 버는 비율?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런 카페가 있다고 생각해볼게요. 이 가게에서 나는 순수익이 월 500만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때 누군가가 이 카페를 6억원에 내놓았다면 사는게 이득일까요? 손해일까요? 월 순수익이 500만원이면 연 수입은 6천만원이 되겠죠? 그런데 이 카페를 6억원에 산다면 10년치 순수익을 내고 사는 것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 가게의 per는 10이 됩니다. 시가총액/당기순이익=per 입니다. 단순한 계산입니다. 당기순이익을 몇 해동안 벌면 이 기업의 가치가 될까?를 생.. 2020. 10. 22.
시가 총액은 무엇일까? 평소에 경제관련 신문이나 뉴스를 보다보면 시가총액(시총)이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뭔가 알것도 같고 모를 것도 같은 이 말의 뜻은 무엇일까요? 한 번 알아봅시다. 시가 총액은 말 그대로 해당 기업을 통째로 살 때 가격을 의미합니다. 가령 시가총액이 3천억원이라고 하면, 3천억원을 주면 해당 기업을 몽땅 사서 주인이 된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시가총액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주식회사는 주식을 발행하고 공모를 통해 해당 주식을 거래하기 시작합니다. 얼마전에 빅히트 엔터테인먼트가 주식 공모를 통해서 신문에 크게 이슈가 된 적이 있었죠? 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0/10/15/65CA3VJLTFBHTODBM7FESUF7OQ/ 빅히트 상장 직후 ‘따상’.. 2020.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