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시가 총액은 무엇일까?

by 조교수 2020. 10. 22.
728x90

평소에 경제관련 신문이나 뉴스를 보다보면 시가총액(시총)이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뭔가 알것도 같고 모를 것도 같은 이 말의 뜻은 무엇일까요? 한 번 알아봅시다.

 

시가 총액은 말 그대로 해당 기업을 통째로 살 때 가격을 의미합니다.

가령 시가총액이 3천억원이라고 하면, 3천억원을 주면 해당 기업을 몽땅 사서 주인이 된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시가총액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주식회사는 주식을 발행하고 공모를 통해 해당 주식을 거래하기 시작합니다. 얼마전에 빅히트 엔터테인먼트가 주식 공모를 통해서 신문에 크게 이슈가 된 적이 있었죠?

 

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0/10/15/65CA3VJLTFBHTODBM7FESUF7OQ/

 

빅히트 상장 직후 ‘따상’ 찍고 하락...공모가 대비 150% 가량 올라

 

www.chosun.com

 

이렇게 주식시장에서 한 주식의 가격이 결정되게 되고 해당 주식의 가격에 총 주식의 수를 곱하면 해당 기업의 시가총액을 구할 수 있습니다.

 

A회사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총 주식을 100주 발행하였다면 A회사의 시가총액은 10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쉽죠?

 

그렇다면 시가총액은 매일매일 변할까요? 답은 "예" 입니다. 주식시장이 열리는 날마다 해당 주식의 가격이 변하기 때문이죠. 

 

그러면 삼성전자는 현재 60,000원인데 현대차는 162,000원이니까 현대차가 더 비싼 주식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주식을 산다는 것은 해당기업을 시가총액으로 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0.0000000000001%의 지분을 가지게 되는 셈인 것이지요. 현대차의 현재 주가인 162,500원에 상장 주식수인 213,668,187을 곱하면 대략 34조 6142억원이 됩니다. 궁금하면 계산해 보세요 ㅎㅎ

 

 

반면에 삼성전자의 경우 1주의 가격은 6만원이지만, 발행 주식 수가 5,969,782,550주이므로 둘을 곱하면 358조 1870억원이 됩니다.

즉, 삼성전자가 현대차보다 10배정도 비싼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죠.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주가만 보고 해당 주식이 싸다, 비싸다를 판단하곤 하는데요.

시가총액을 가지고 비교해야 정확하다는 사실! 잊지마세요~! ^_^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캠퍼스] 알아보기  (0) 2020.11.06
kt&g(20.11.01.)  (0) 2020.11.01
계좌 현황(2020. 10. 25.)  (1) 2020.10.29
멀티캠퍼스(ft. 일장춘몽)  (0) 2020.10.28
PER에 대해서 알아보자  (2) 2020.10.22

댓글